REAL FOODS > 내추럴푸드
‘허기’ 채우던 시래기…‘건강’을 채우다
2016.02.02.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 겨울철 별미 무청은 무에서 잘라낸 줄기와 잎 부분을 말한다. 시래기는 이 무청을 말린 것이다. 시골에 가면 담벼락에 시래기를 걸어놓은 집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시래기는 먹을 것이 귀했던 시절 허기진 배를 달래기 위한 먹거리였지만 지금은 건강식품으로 각광 받고 있다. 시래기는 암환자의 식단에 단골로 등장한다.
시래기의 원 재료인 무청은 면역력을 키워주는 베타카로틴이 100g당 2210ug이나 함유돼 있다. 이 무청을 말려 시래기를 만들면 건조과정에서 베타카로틴 함량이 무려 9792ug으로 다섯 배 가까이 증가한다.
또 무청에 풍부한 비타민C는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간의 해독과정 중 발생하는 활성산소가 간에 손상을 입히는 걸 막아준다.
무청과 시래기에는 빈혈을 예방하는 철분과 골다공증에 좋은 칼슘도 다량 함유돼 있다.
이외에도 시래기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와 칼슘이 몸 속에 콜레스테롤 배출을 돕고 혈관계질환인 고지혈증, 동맥경화와 같은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철분도 풍부해 임산부에게 좋다.
attom@heraldcorp.com
시래기의 원 재료인 무청은 면역력을 키워주는 베타카로틴이 100g당 2210ug이나 함유돼 있다. 이 무청을 말려 시래기를 만들면 건조과정에서 베타카로틴 함량이 무려 9792ug으로 다섯 배 가까이 증가한다.
[사진 = 헤럴드경제DB]
또 무청에 풍부한 비타민C는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간의 해독과정 중 발생하는 활성산소가 간에 손상을 입히는 걸 막아준다.
무청과 시래기에는 빈혈을 예방하는 철분과 골다공증에 좋은 칼슘도 다량 함유돼 있다.
이외에도 시래기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와 칼슘이 몸 속에 콜레스테롤 배출을 돕고 혈관계질환인 고지혈증, 동맥경화와 같은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철분도 풍부해 임산부에게 좋다.
attom@heraldcorp.com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묵의 살인자' 고혈압...계피.양파와 친해져라 (0) | 2016.02.02 |
---|---|
물이 물로 보이냐...일상 속 즐기는 미세먼지 중화 식품 (0) | 2016.02.02 |
계절성 우울증 '웰푸두'로 극복을 (0) | 2016.02.02 |
당뇨병 합병증 예방하는 식사법은 (0) | 2016.02.02 |
건강백세 이끄는 슈퍼푸드 '땅콩나물' 아시나요 (0) | 2016.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