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말하다

생활건강 2010. 3. 12. 00:14

입력 : 2010.03.10 09:09

지난 베이징 올림픽에 이어 이번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도 한국은 전통 스포츠 강국들을 뛰어넘는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최근 한국선수들은 피겨, 골프, 축구, 야구 등 다양한 종목에서 믿기 힘든 기적들을 탄생시켜왔으며, 전세계에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김연아, 양용은, 박지성 같은 스포츠 스타들은 이미 ‘한강의 스포츠 기적’을 만들어냈다. 수 년간 한국에 유학중인 중국인으로서 나는 끊임없이 기적을 만들어내는 한국과 한민족을 두 눈으로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의 스포츠 기적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첫째, 한민족 문화의 특수성을 들 수 있다. 역사적으로 한국은 단일민족 문화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의 일체감과 응집력이 매우 견고하다.


얼마 전 한 한국인 학교 선배의 끈질긴 권유에 못 이겨 축구 모임에 가입하게 되었다. 중국인인 내가 가입함으로써 최근 있었던 한중전 얘기가 자연스레 나오게 되었다. 난처해하던 차에 한국 친구들은 ‘중국은 역시 강대국이야’라는 말로 추켜세워주었다. 그때 나는 한국인은 주변국을 가리킬 때 ‘강대국’이란 표현을 자주 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국이 숱한 기적을 만들어 내는 이면에는 이런 압박감을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는 한민족의 진취적인 정신이 있기 때문에 가능할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둘째, 스포츠의 대중화를 들 수 있다. 한국인들은 운동을 좋아한다. 평소 주말만 되면 수많은 등산객들이 산으로 모여드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등산은 한국인들에게 이미 일상화된 신체 단련 운동의 하나다. 한국 대학에는 수많은 스포츠 동호회가 있는데, 태권도, 축구가 가장 대표적인 운동이며 인기도 매우 많다. 스포츠의 대중화가 가능한 것은 언제 어느 곳에서든 신체단련이 가능할 정도로 체육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다는 의미다. 오락 편의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는 한강변뿐만 아니라 대로변 양쪽에는 보통 태권도장, 헬스클럽, 실내골프장 한 두 개쯤은 보인다.


셋째, 경제성장이 문화와 스포츠 발전의 든든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 70년대, 한국인은 불굴의 의지로 눈부신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며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냈다. 또 최근에는 원전의 해외수출이라는 또 다른 기적을 낳고 있는 한국이 ‘노력의 땀방울’로 끊임없이 다양한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최근 조선일보 창간 90주년 특집 기사에서 한국의 국가 브랜드가 크게 향상되었다는 보도를 접했다. 한국은 이번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국가 이미지가 더욱 향상될 것이라 생각한다.


조선닷컴 중문판 독자레터/ 정리=중문뉴스팀 정숙영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의 사진  (0) 2010.03.15
봄나물  (0) 2010.03.12
봄이 왔다  (0) 2010.03.11
처가살이했던 남편들  (0) 2010.03.11
멋있는 그녀  (0) 2010.03.11
Posted by 행복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