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진리]

                      모임

                      열두 가지 독특성 - 2

                                                                                                                                                 - N. 크로포드

   (5) 은사가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서로의 은사를 인정하고 그것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은 성경적으로 모이는 모임의 두드러진 특징입니다.

일단 우리가, 은사는 위로부터 인간에게 주어진 것으로 성령에 의해 통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우리는 일인목회나 전체목회를 내세우는 일체의 제도를 거절해야 합니다. 모든 형제들이 다 목자나 교사나 전도자의 은사를 가진 ㄱ서은 아니빈다. 또한 신약성경을 주의 깊게 살핀다면 모든 은사가 한 사람에게 맡겨진 "일인목회 제도"를 받아들일 수 없을 것입니다. "더욱 큰 은사(gifts)를 사모하라"는 말씀은 어떤 은사가 나에겍 개인적으로 주어지기를 사모하라는 뜻이 아니라 그러한 은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임에 나타나기를 사모하라는 뜻입니다. 만일 일인목회가 신약성경의 목회 형태라면 위의 말씀을 비롯한 신약성경의 많은 말씀들이 복수가 아닌 단수 명사 gift를 사용했을 것입니다. 고린도 성도들은 더욱 큰 은사인 목사를 사모하라는 권고를 받은 것이 아니라 모임 가운데 항상 복수로 존재하는 "은사들"을 사모하라는 권고를 받은 것입니다. 오늘날 오랜 세월 동안 이러한 성경이 가르치는 다양한 은사 활용을 실행해 온 많은 모임들이, 교육받은 목회자가 필요하다든지 혹은 다른 사람들은 목회와 가르침의 사역을 위해 자신을 주님께 헌신할 충분한 시간이 없다는 등의 이유로 일인목회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은 매우 슬픈 현상입니다. 우리는 경건과 성숙과 은사의 활용을 추구하는 한편 성직자 제도롤 유도하는 일체의 경향을 단호히 거절해야 합니다.


   관련 성구 ; 롬 12:6-8, 고전 12:1-11, 28-31, 14:15-39, 엡 4:8-16.


   (6) 떡을 떼는 일을 최우선시 합니다.


   최근에  우리는 모임과 같은 초대교회 공동 예배로의 복귀 현상이 오랜 세월동안 실행되어 왔다는 내용의 기성교회 사람들의 기사를 많이 접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교계에서는 이러한 단순함으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요청이 높아가고 있는 반면에 당황스럽게도 모임 내에서 변질을 의미하는 두 가지 중대한 현상이 일고 있는데, 그것은 떡을 떼는 일을 경시하는 것과 복음증거 시간을 갖지 않는 것입니다. 주의 만찬을 제쳐놓은 예배 모임이란 상상할 수 없는 일입니다.

   모임을 특징짓는 뚜렷한 요소는 "사도들의 가르침과 교제와 떡을 떼는 일과 그리고 기도"입니다. 우리가 경험으로 알고 있는, 하늘과 가장 근접하는 기회인 떡을 떼는 일을 경험해 온 어떤 신령한 신자가 그 일에서 돌이켜 소위 "공중예배"를 위한 미리 준비된 형식의 예배의식을 좇는다는 것은 우리로서는 납득하기가 심히 어려운 일입니다. 우리는 이 떡을 떼는 모임을 최우선적인 시간, 즉 매주 첫 날 모여지는 모임 중 가장 풍요한 시간으로 여기고 그렇게 실행합니다. "안식 후 첫날에 우리가 떡을 떼려하여 모였더니" 라는 누가의 기록은 신약 성경의 다른 명령과 동등한 권위를 지닌 한 규례를 우리에겍 제시해 보입니다. 이 규례는 주 예수님의 가르침 및 서신서의 가르침과 일치합니다.


   관련 성구 : 눅 22:14-20, 요 4:19-20. 행 2:41-42, 20:6-7, 고전 11:23-34.


   (7) 하나님의 말씀만을 절대 유일한 권위로 믿습니다.


   성경의 영감성을 믿는 이들은 누구나 성경이 그들의 유일한 권위라고 고백합니다. 그러한 사람들을 판단할 권리가 우리에게는 없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하나님의 권한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임에서는 어떤 성문화된 신앙 고백문이나 교회의 결정사항이나 체계화된 법규나 회의체가 아닌 하나님의 말씀만이 유일한 지침이 됩니다.

   모쪼록 하나님께서 인간의 견해나, 사람이나 제도에 대한 충성으로부터 벗어나 그분의 말슴의 절대적이고도 최종적인 권위를 우리 가운데 보존해주시기를 소원합니다. 인본족인 해석체계나 현대 사상에 근거한 주장에 의해 성경의 권위를 떨어뜨리려는  어떠한 시도도 일절 용납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관련 성구 : 마 4:4, 5:18, 24:35, 요 10:35, 행 20:32, 딤후 3:16-17, 벧후 1:16-21.


   (8) 상호간에 영적인 유대를 갖습니다.


   인간은 본성적으로 조직을 선호하기 마련입니다. 체계화된 질서와 잘 짜여진 구조는 관련된 일들이 통제 하에 있다는 안도감을 우리에겍 가져다줍니다. 이와 같은 인위적인 질서를 선호하는 경향이 지난 여러 세기 동안 하나님을 위한 증거활동을 오염시켜왔습니다. 모임 상호간에 존재하는 교제는 영적인 것이며 인위적인 방법의 산물(産物)이 아닙니다. 모임은 모든 활동에 있어 독립적이지만 교제에 있어서는 서로 배타적이지 않습니다. 이 사실은 사도행전에 나타난 모범으로부터 배울 수 있습니다. 예루살렘 교회는 안디옥 교회에 대해 깊은 영적인 관심이 있었으며, 기근 시에는 안디옥 교회가 기쁜 마음으로 "유다에 사는 형제들에게 부조를 보냈습니다." 또한 갈라디아서에서의 복음의 확장은 안디옥과 예루살렘 성도들의 깊은 공동 관심사였습니다. 이러한 모임 간의 상호의존과 영적인 유대가 신약성경에 나타난 질서의 주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므로 한 모임의 모든 활동은 다른 모임들에 끼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평가를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관련 성구 : 행 11:22-30, 14:23-28, 고전 9:1-15, 빌 4:14-19.


   (9) 여자들은 잠잠해야 합니다.


   모임에서 행해지는 여러 진리들이 인간의 견해와 상충됩니다. 이 문제에 대한 신약성경의 표현은 요한복음 3장 16절 만큼이나 그 뜻이 명료합니다만 많은 사람들이 이 가르침을 약화시키기 위해 오랫동안, 애써 노력해 왔습니다. 오늘날 누가, 언제 말을 해야 하느냐는 문제를 결정하는데 있어 성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매우 인기 없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성경은 여자들은 모임의 집회에서 잠잠할 것을 명백히 가르칩니다. 다헹히도 모임의 자매님들에게는 이런 가르침과 관련하여 어떠한 문제도 야기되지 않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 정직하게 대하고 그 가르침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잇는 것입니다. 우리들 가운데는 모임의 활동의 중추를 이루는 많은 경건한 자매님들이 있습니다. 사도들의 시대는 끝났지만 경건하고 존경스런 여인들은 연연히 그 맥을 이어왔습니다.


   관련 성구 : 행 17:4, 고전 14:34, 딤전 2:8-15.


   (10) 성별된 재정 원칙을 고수합니다.


   불신자들에게서 재정 재우너을 받는 것은 모임의 선구적인 복음 전도자들의 관행이 결코 아니었습니다. 이러한 독특한 방법이 능력을 발한 사실로 인해 하나님께 깊이 감사를 드리는바, 우리는 그 사실을 입증할 만한 기회들을 오랜 세월 동안 경험해 왔습니다. 가난한 자들이 드리는 헌물을 통해 왕같이 생활하는 것을 그들의 특권으로 여기는 자들로 인해 주님의 이름에 크나큰 불명예가 끼쳐지는 현 시대에, 우리는 우리의 간증이 저들의 만용(蠻勇)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는 사실에 겸허히 감사하게 됩니다.  우리가 이제껏 다뤄온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는, 그러한 행함을 통해서 하나님께로부터 축복을 받고자 하는 사람들이 내는 헌물을 부득불 거절하는 일입니다.


   관련성구 : 요삼 5-8절(잠언 15:8, 21:27은 모든 시대를 위한 원칙입니다).


   (11) 성령의 인도하심에 철저히 순복합니다.


   우리는 구우너과 봉사에 있어서 성령의 지도를 전적으로 의존합니다. 성령은 은사를 부여하고, 길을 안내하고, 능력을 주고, 일을 이루고, 열매를 맺고, 그리고 종들의 미약한 노력을 축복하는 거룩한 위(位, Person0이십니다. 그분은 죄를 깨닫게 하고, 유죄를 선고하고, 죄인들에게 그리스도를 계시해 주십니다.

   우리는 예배와 기도 및 사역 전반에 있어서 그분의 인도하심을 의존합니다. 인간의 구상으로 그분의 인도하심을 대신 한다는 것은 심히 옹색한 처사입니다. 기도나 예배를 위한 모임을 가진 후에 우리는 종종 그분의 인도하심에 놀라곤 했습니다. 어떤 인간의 조직도 이러한 신령한 결과들을 모방해 낼 수 없었습니다.


   관련 성구 : 요 1:12-13, 3:5-9, 16:7-15, 롬 8:14-17, 26-28, 고전 2:2-5, 13-16, 고후 4:3-6.


   (12) 권징을 합당히 행합니다.


   성경에 분명한 분부가 나와 있음애ㅔ도 불구하고 오늘날 교회내에서 권징이나 출교를 실행한다는 것은 이색적인 일입니다. 이러한 권징은 잘못에 대한 징벌과는 구별되어야 합니다. 모임의 권징의 목적은 모임의 순결을 지키고 다른 사람들을 범죄로부터 보호하고 범죄한 사람을 회개시키기 위함입니다. 도덕적인 누룩과 교리적인 누룩은 모두 "누룩 없는 자로서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말끔히 제거되어야만 합니다.


관련 성구 : 마 18:15-20, 고전 5:9-13, 딤전 1:18-20.


   이상이 모임의 독특한 특성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닙니다만, 이들 하낳하나의 진리에 유의한다면 분명 이들 진리들이 준수되는 모임으로부터 떨어져나가는 일로부터 우리 자신을 지킬 수 있을 것입니다.*

'횃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음] 어떤 문?  (0) 2018.08.22
[자녀양육-6] 십대 시절  (0) 2018.08.22
[교회진리] 모임의 열두 가지 독특성 - 1  (0) 2018.07.26
[자녀양육-6) 자녀들의 반응  (0) 2018.07.26
[십대 & 청년들에게] 습관  (0) 2018.07.23
Posted by 행복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