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의와의 수다] “알쏭달쏭 대사 증후군, 방치하면 죽어요!”

국내 최고 당뇨병 권위자, 가천대 길병원 김광원 교수의 건강법

[사진=코메디닷컴, 가천대 길병원 김광현 교수]
“성인병? 대사 증후군? 비슷비슷한 의미 같은데 정확히 무슨 병인지 아나요?”


성인병은 고혈압, 동맥 경화, 당뇨병, 심장병 등을 통칭한다. 주로 중년 이후 성인에게 생기는 병이라 이렇게 불렸다. 하지만 점점 발생 연령이 낮아지고 있고, 어느 순간부터 대사 증후군이 비슷한 증상을 통칭하며 뉴스에 자주 등장하기 시작했다.

대사 증후군은 국민 4명 가운데 1명이 진단받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지만, 정확히 대사 증후군이 무엇인지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지난 16일 코메디닷컴은 서울 양천구 신정 지구에 위치한 목동메디컬&힐링콘텐츠타운에서 국내 최고의 당뇨병 권위자 가천대 길병원 김광원 교수(전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와 함께 대사 증후군의 이모저모를 살폈다. 목동메디컬&힐링콘텐츠타운은 최근 문을 연 국내 최초의 복합 의료 문화 공간이다.

도대체 대사 증후군이 뭐길래?

대사는 신진대사를 뜻한다. 대사가 잘 된다는 것은 몸이 잘 돌아간다는 말이다. 증후군은 여러 증세가 복합적으로 한꺼번에 나타날 때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대사 증후군은 대사 과정이 원활하지 않아서 생기는 여러 증상을 총체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보통 복부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날 때 대사 증후군이라고 한다.

몸에서 보내는 ‘시그널’

김광원 교수는 대사 증후군은 일종의 경고 신호라고 설명했다. 그 첫 번째 신호는 비만, 특히 복부 비만이다. 그때는 별다른 증세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복부 비만이라는 신호를 방치하면 고혈압, 고지혈증이 차례로 생긴다. 더 악화되면 혈당이 급격히 높아져 당뇨병 등 질병 상태로 접어든다.

“비만이나 고혈압, 고지혈증 자체로 사망에 이르지는 않아요. 우리나라 사망 원인 1위가 암, 2위가 뇌졸중·심장병 그리고 5위 정도가 당뇨병입니다 대사 증후군에 속하는 당뇨병이 5위죠? 하지만 암, 뇌졸중, 심장병 등의 사망 원인도 모두 생활습관병 즉 대사 증후군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큰 틀에서 보면 혈관과 관련이 있습니다. 혈당이 높으면 암 발생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많아요. 뇌졸중이나 중풍은 뇌혈관이 막혀 터지는 것이고, 당뇨병 합병증인 당뇨망막병증도 실핏줄이 터지는 병입니다. 심장병도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동맥이 막히거나 터지는 병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결국 혈액 순환 장애에서 병이 나타납니다.”

습관에서 결정된다

김광원 교수는 “쉽게 말해서 기름기 있는 음식을 많이 먹고 잘 움직이지 않는 사람이 대사 증후군에 걸린다”며 “아마 ‘생활습관병’이라고 하는 것이 더 직관적으로 와닿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기 때문에 김 교수가 제시하는 치료법도 간단하다. 생활습관을 개선하면 된다.

“생활습관은 잘 자고, 잘 먹고, 잘 움직이면 됩니다. 이 세 가지 요소만 지키면 돼요. 6~8시간 푹 자고, 제때 챙겨 먹고, 꾸준히 운동하는 것. 특히 아침을 꼭 챙겨 먹고 충분히 숙면을 취하는 게 중요합니다. 잠을 못 자면 혈당과 혈압이 올라가고 스트레스도 늘어요. 우리 몸이 완전히 정지한 상태에서 정비할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이러한 규칙적인 생활로 대사 증후군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어요.”

“말이 쉽지 생활습관을 바꾼다는 것은 개종보다 힘든 일입니다. 중요한 것은 ‘습관’을 들이는 거죠. 습관을 들이는 첫 단추는 규칙입니다. 규칙에는 이유를 달지 말아야 해요. 이 시간에 하겠다고 하는 것은 무조건 하는 거예요. 이유를 달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자기 합리화가 시작됩니다. 시간을 지키는 것에 목숨을 걸으세요.”

연희진 기자 miro22@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Posted by 행복자
,




달걀 먹으면 몸에 생기는 좋은 현상 10가지

달걀을 먹는 것은 가장 값싸면서도 쉽게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달걀에는 아미소산과 항산화제, 철분 등의 성분이 들어있어 등 전반적인 건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달걀의 흰자위뿐만 아니라 노른자위에는 콜린이라고 부르는 지방을 퇴치하는 영양소가 있어 몸을 날씬하게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미국 농무부(USDA)는 항생제나 백신, 호르몬이 들어있지 않은 달걀을 추천한다. 미국의 식품 정보 사이트 ‘잇디스닷컴(eatthis.com)’이 달걀을 먹었을 때 신체에서 일어나는 좋은 현상 10가지를 소개했다.

면역체계를 강화시킨다=큰 달걀 한 개에는 셀레늄 하루 섭취 권장량의 22%가 들어있다. 셀레늄은 신체 면역체계를 지원하고 갑상샘 호르몬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영양소다. 이 때문에 어린이는 달걀을 꼭 먹어야 한다. 어린이나 사춘기 때 셀레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면 심장근육병증인 케샨병이나 풍토성 골관절염인 카신-베크병에 걸릴 수 있다.

좋은 콜레스테롤 수준을 높인다=콜레스테롤에는 건강에 좋은 콜레스테롤(HDL)과 나쁜 콜레스테롤(LDL)이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우리 신체는 끊임없이 콜레스테롤을 생산해 낸다. 그런데 달걀 한 개에는 보통 212㎎의 콜레스테롤이 들어있지만 HDL 수치를 높임으로써 건강에 좋은 작용을 한다.

심장질환 발병 위험을 낮춘다=나쁜 콜레스테롤인 LDL은 지방 분자를 동맥벽에 달라붙게 해 죽상동맥경화증을 일으킨다. 반면에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은 이런 지방 분자를 동맥벽에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에 따르면 LDL 입자가 작고 밀도가 높으면 큰 입자보다 심장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달걀은 어떤 사람들에게서는 LDL 수치를 높일 수도 있지만 작고 밀도가 높은 LDL 입자를 큰 입자로 변화시켜 심장질환 위험을 낮추는 효능이 있다.

활력을 북돋운다=달걀 한 개에는 비타민B2 하루 섭취 권장량의 15%가 들어있다. 리보플라빈으로도 불리는 비타민B2는 신체가 음식을 연료로 전환시키는 것을 돕는다. 즉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피부와 머리털을 개선시킨다=비타민B 복합체는 피부와 머리털, 눈, 간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한 영양소다. 또한 신경계가 적절하게 기능하도록 돕는다. 달걀에는 이런 비타민B군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두뇌를 보호한다=달걀은 두뇌 음식이다. 달걀에는 세포막의 구성 요소이자 신경전달물질의 하나인 아세틸콜린을 합성하는 데 꼭 필요한 물질인 콜린이 들어있다. 연구에 따르면 콜린 결핍은 신경질환과 관련성이 있으며 인지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불안 증상을 완화한다=달걀에 들어있는 아미노산이 부족하면 정신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아미노산의 일종인 라이신을 섭취하면 신경기관에서 세로토닌 수치를 조절함으로써 불안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뼈와 치아를 튼튼하게 한다=달걀에는 뼈와 치아 건강에 중요한 비타민D가 포함된 몇 안되는 천연식품 중 하나다. 비타민D는 칼슘의 흡수를 돕는 효능이 있다.

포만감을 느끼게 해 덜 먹게 만든다=달걀에는 양질의 단백질이 들어있다. 연구에 의하면 고단백질 식품은 조금만 먹어도 배를 든든하고 포만감을 오래 지속시켜 식욕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살을 빠지게 한다=8주간 진행된 연구에서 참가자의 한 그룹은 아침마다 달걀을, 다른 그룹은 베이글을 먹게 했다. 그 결과 달걀을 먹은 사람들은 베이글을 먹은 사람보다 체중이 65% 더 빠졌다. 또 체지방은 16%, 체질량지수는 61%, 허리둘레는 34%가 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권순일 기자 kstt77@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Posted by 행복자
,

살찌기 싫으면 고기·디저트 대신 '땅콩' 먹어라?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정선유 헬스조선 인턴기자  


캐슈너트, 아몬드, 잣, 브라질너트가 유리그릇에 담겨있다
견과류를 먹으면 체중 증가와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클립아트코리아

견과류를 섭취하면 체중이 느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당뇨병 위험도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찬공중보건학교의 샤오란 리우 박사 연구팀은 땅콩 등의 견과류가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4년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약 28g의 견과류로 영양가 낮은 식품을 대체하는 것이 체중 증가와 비만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붉은 고기, 가공육, 감자튀김, 디저트, 감차칩을 먹는 대신 견과류를 먹으면 체중이 현저하게 덜 찌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사람들은 종종 견과류가 지방과 열량이 많아 건강하지 못한 간식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 체중 증가를 막는 등의 건강 효과를 낸다"고 말했다.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홍미영 박사 연구팀도 유사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 홍 박사 연구팀은 건강한 성인 22명을 대상으로 견과류의 일종인 브라질 너트가 포만감, 혈당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참가자의 평소 식단에 같은 열량·나트륨이 든 프레첼 36g을 추가하거나 브라질너트 20g을 2회 추가했다. 그 결과, 프레칠을 먹은 참가자는 40분 만에 혈당 수치가 크게 올랐지만, 브라질너트를 먹은 참가자는 그렇지 않았다. 브라질너트를 먹었을 때 포만감도 더 컸다. 연구팀은 “브라질너트는 식후 혈당과 인슐린 수치를 안정화해 당뇨병과 체중 증가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브라질너트에 풍부한 셀레늄이 이러한 결과를 가져왔을 것으로 추측했다.

이 두 연구 결과는 모두 미국 심장 협회가 개최하는 컨퍼런스 ‘Scientific Sessions 2018’에서 발표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07/2018110701834.html
Posted by 행복자
,

"찌는 게 억울해” 나이 들면 느는 체중, 왜?

[사진=n_eri/shutterstock]
20대 때보다 특별히 많이 먹지도 않는데 자꾸 늘어나는 살, 세월과 함께 속상하게 늘어만 가는 살의 원인은 무엇일까? 나잇살에 대한 진실과 거짓을 알아보자.


◆ 신진대사는 30대부터 느려진다?= 아니다. 신진대사는 20대 때부터 느려지기 시작한다. 청소년기보다 하루 평균 150칼로리를 덜 소모하는 변화가 일어난다. “대학 가면 저절로 빠져”란 말이 왜 모순인지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다.

20대에 접어들면 우리 몸은 성장을 멈추고 세포가 노화되기 시작하는데, 이로 인해 신진대사가 떨어진다. 단 20대의 대사량은 아직 크게 낮지 않아, 평범하게 먹고 활동하는 것만으로도 살이 잘 찌지 않는다. 반면 30대 이후로는 급격히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 비활동적인 생활을 오래 지속할수록 근육 부족으로 살이 잘 찌므로, 꾸준한 근력운동이 꼭 필요하다.

◆ 체중 증가는 노화 현상의 일부다?= 나이가 들면서 기초대사량이 준다는 것은, 예전만큼 칼로리를 소비하지 못하게 됐다는 의미다. 소비 안 되고 남은 칼로리는 결국 살이 된다. 20대 때와 똑같이 먹고 똑같이 움직이는 30대 혹은 40대는 살이 찔 수밖에 없다는 것.

하지만 이를 달리 말하면 덜 먹고 부지런히 움직이면 20대 때의 체중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물론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 폐경기는 여성 체중을 증가시킨다?= 월경이 끝난 여성은 폐경기로 접어든다. 보통 40대 중후반을 기점으로 이 시기에 이르는데, 이때 상당수의 여성들이 살이 찌는 경험을 한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내장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데, 폐경기에 이 호르몬의 분비가 줄면 뱃살이 잘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근육량, 활동량, 대사량 등을 향상시키면 이를 극복하고 적정 체중을 유지할 수 있다.

◆ 50대는 하루 1500칼로리만 먹어야 한다?= 개인차는 있지만 50대 여성은 평균 1800칼로리, 남성은 2000~220칼로리 정도 먹으면 적당하다. 자신의 평소 활동량과 기초대사량을 고려해 얼마든지 섭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중간 강도의 활동을 하는 사람, 즉 시간당 3~4마일(약4.8~6.4킬로미터)을 가는 속도로 하루에 1.5~3마일(약2.4~4.8킬로미터)을 걷는 사람이라면 대략 이 같은 권장 칼로리를 섭취하고, 3마일 이상 걷는 보다 강도 높은 활동을 하는 사람은 더 많은 양의 칼로리를 섭취해도 된다.

◆ 나이가 들수록 식습관이 나빠진다?= 나이가 들면 미각과 후각의 기능이 약해진다. 이로 인해 식욕을 잃은 사람은 살이 급격히 빠지기도 한다. 반대로 음식을 예전보다 맵고 짜게 자극적으로 먹으려는 사람들도 있다. 이는 살이 찌는 원인이 된다. 살이 찌고 있다면 조미료를 과하게 사용하고 있지 않은지 체크해보자. 나이가 든 다음 시작하는 운동과 식이요법도 건강상 이점이 있으니 좌절하지 말고, 지금부터라도 관리를 시작하자.

문세영 기자 pomy80@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Posted by 행복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