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건강 향상시키는 먹거리 6

입력 F 2017.09.09 09:02 수정 2017.09.09 09:02


운동과 정신 건강은 사람의 전반적인 건강에 중요한 두 가지 요소다. 하지만 이 두 가지는 적절한 식사 없이는 소용이 없다. 음식은 사람의 뇌와 소화기관, 혈액, 심장, 면역체계 그리고 세포 하나하나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궁극적으로 우리가 먹는 것이 생산해내는 것이 된다. ‘원그린플래니트’가 단기간에 건강을 변화시키는 강력한 식품 6가지를 소개했다.

1.양파

케르세틴이라는 암 위험을 줄여주는 항산화 성분이 들어있다. 이 성분은 알레르기도 감소시킨다. 양파는 소화기관에 좋은 박테리아를 자라게 하고 간 건강을 향상시키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를 포함하고 있으며 혈압을 낮추고 과도한 수분 저류 현상을 없애는 칼륨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양파는 풍미가 좋아 소금이나 설탕, 중독성이 있는 첨가제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양파의 톡 쏘는 맛은 당분 섭취 욕구를 감소시키고 함유된 비타민B군은 뇌와 대사 건강을 향상시킨다.

2.고구마

소화가 잘 되는 탄수화물이 들어있다. 비타민B군과 마그네슘, 비타민C,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혈당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백미와 흰 감자 대신 고구마를 먹으면 혈당이 떨어지고 피부가 개선된다. 고구마의 단맛은 가공된 설탕이나 정제 전분을 건강하게 대체할 수 있다.

3.시금치

이 잎채소는 눈 건강과 기분을 향상시키고 체내 수소이온농도(pH)를 건강하게 조절한다. 시금치에 들어있는 루테인은 시력을 향상시키고 백내장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 비타민E는 피부를 젊게 하고, 비타민B와 마그네슘, 단백질은 신경전달물질의 기능을 증강시킨다.

여기에 시금치는 최고의 알칼리성 식품 중 하나로 염증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비타민C도 어떤 과일보다 많이 포함하고 있다. 철분과 엽산도 들어있어 사람의 활기를 북돋운다.

4.아몬드

아몬드는 체중과 기분, 심장, 뼈, 신경계, 그리고 소화 건강에까지 두루 유익한 견과류다. 소화가 잘 되는 단백질이 4분의 1 컵 당 7g이 들어있다.

비타민B군과 마그네슘, 칼륨이 들어있어 기분과 혈당 수치 조절에 효능이 있다. 또 칼슘도 함유돼 있어 뼈 건강을 증강시키고 비오틴 성분은 두발과 피부, 손톱에 좋다. 단일 불포화지방이 풍부해 간식으로 적당히 섭취하면 포만감을 느끼게 해 살을 빼는 데도 도움이 된다.

5.콜리플라워

브로콜리 못지않은 건강 효능을 갖고 있다. 콜리플라워는 채소 중에서 비타민B군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어 정신 건강에 좋다. 또 암 위험을 감소시키고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데 좋은 비타민C와 항산화제도 풍부하다.

6.케일

마그네슘과 철분, 비타민B군, 엽록소 등을 포함하고 있다. 케일은 시금치에 비해 단백질과 비타민 함유량이 약간 낮지만 시금치와 비슷한 채소다. 항산화 성분과 섬유질은 시금치보다 더 많아 항암, 항염증 효능이 탁월하다.

[사진출처 : 아이클릭아트]

 

 


권순일 기자 (kstt77@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Posted by 행복자
,

회 먹고 생기는 '패혈증'… 예방수칙 5가지​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그릇에 담겨진 회
​비브리오 패혈증은 수온이 높은 8월부터 10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사진=헬스조선 DB

30대 박모씨는 친구들과 남해로 휴가를 갔다가 회·조개 등 해산물과 어패류를 먹었다. 그런데 음식을 먹고 난 후 배가 아프고, 오한,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 응급실에 갔다. 검사 결과 ‘비브리오 패혈증'이었다.

찌는 더위가 한풀 꺾이고 가을이 한발짝 다가왔지만, 해안지역에서는 비브리오 균으로 인한 감염병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해수 온도 상승으로 양식 어류가 폐사하는 등 상황이 심상치 않고, 비브리오균은 일반적으로 해수 온도가 15도 이상이 되는 5월부터 생기기 시작해 수온이 높은 8월부터 10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Vibrio vulnificus)에 감염돼 생긴다. 이 균을 가지고 있는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거나 덜 익혀 먹었을 때, 어패류나 바닷물, 갯벌에 들어있는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이 피부 상처에 접촉되었을 때 감염된다. 주로 면역기능이 떨어진 사람들에게 잘 감염되며, 만성 간 질환 같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치사율이 4~50%에 이른다.

비브리오균에 감염된 경우, 증상은 2가지로 나뉜다. 피부 상처에 감염된 창상감염형은 해안에서 조개껍질이나 생선 지느러미에 긁혀서 생긴 상처를 통해 바닷물에 있던 균이 침입하여 상처 부위에 부종과 홍반(붉은 반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증상이 급격히 진행되며 대부분의 경우 수포(물집)성 괴사(세포가 죽는 것)가 생긴다. 잠복기는 12시간이며 기존에 앓고 있던 질환이 없는 성인의 경우에는 항생제 투여와 외과적 치료에 의해 대부분 회복된다. 오염된 해산물을 익히지 않고, 날것으로 먹었을 경우에 생기는 원발성 패혈증(일차적인 패혈증, 즉 다른 질환에 의해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패혈증이 아니라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 그 자체가 패혈증의 1차적인 원인이 됨)은 급작스러운 발열, 오한, 전신 쇠약감을 유발한다. 구토와 설사가 동반되기도 한다.

잠복기는 16~24시간이며, 증상이 발생한 뒤 30여 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환자에서 피부에 병적인 변화가 나타난다. 사지, 특히 하지에서 부종, 발적, 반상 출혈(피부에 검보랏빛 얼룩점이 생기는 피하출혈, 멍), 수포형성, 궤양, 괴사(세포나 조직의 일부가 죽는 것) 등의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

고대안암병원 감염내과 김선빈 교수는 “비브리오 패혈증의 증상이 심해지면 쇼크에 빠지기도 하는데, 이 경우 회복이 매우 힘들며, 발병 후 48시간 이내에 사망하기도 한다” 며 “최근 1주일 이내에 제대로 익히지 않은 해산물이나 어패류를 먹었거나, 바닷물에 접촉하였거나, 해안가에서 낚시하거나 어패류를 손질하는 중 상처가 난 후에 이상 증세가 발생했다면 당장 병원에 와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치료는 페니실린(penicillin), 암피실린(ampicillin), 세팔로틴(cephaloth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등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에 효과가 있는 항생제를 투여하고, 병적인 변화가 나타난 피부 부위에 괴사된 조직이 있는 경우, 절개 등의 외과적 치료를 한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올해의 경우 신고된 8명의 확진신고자중 3명이 사망했으며, 질병관리본부의 연도별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현황 통계를 살펴보면, 2012년 64건(사망자수 37명), 2013년 56건(사망자수 31명), 2014년 61건(사망자수 40명), 2015년 37건(사망자수 13명), 2016년 42건(사망자수 14명)이었다. 월별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5월부터 환자가 발생하여 8월부터 10월까지에 집중되어 있다. 최근에는 해수 온도 상승으로 더욱 주의를 요하고 있는데,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대략 3도 정도 웃돌아 비브리오 패혈증의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김선빈 교수는 “간 질환자, 알콜중독자,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 악성종양,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환자, 장기이식 환자, 면역결핍환자와 같은 고위험군은 발병하면 치사율이 50%까지 높아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5가지
-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 어패류는 5℃ 이하로 저온 보관하고 85도 이상 가열 처리한다.
- 조개껍질이 열린 뒤 5분 간 더 끓인다.
- 날생선 및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 어패류를 장만할 때 조리장갑을 착용하고, 조리 시에는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꼭 흐르는 수돗물을 사용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07/2017090701249.html
Posted by 행복자
,

걸으면 나타나는 건강 효과 6

입력 F 2017.09.02 09:12 수정 2017.09.02 09:12


걷기 운동은 가장 안전하면서 효과적인 건강 증진법이다. 규칙적인 30분 걷기가 우리 몸에 불러올 수 있는 변화는 매우 극적이다. 과연 걷기운동으로 거둘 수 있는 의학적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1.심뇌혈관 건강 향상

심장 질환과 뇌졸중의 위험을 30% 가량 줄여준다. 규칙적인 30분 걷기가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HDL)을 증가시키고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LDL)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혈압도 떨어뜨려주기 때문이다.

2.체중 조절

체중 조절의 선순환을 가져온다. 몸무게 60㎏인 사람이 하루 30분간 3.6㎞를 걸을 때 소모되는 열량은 150칼로리이다. 하지만 근육량 증가를 통해 기초 대사량을 늘려 체중 조절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3.치매 예방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1주일간 10㎞정도를 걸으면 뇌의 용적이 줄어드는 위축과 기억력 소실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4.근력 강화

하지 근력뿐 아니라 다양한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언덕을 걸으면 엉덩이 근육이 강화돼 애플 힙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고, 복근도 강화된다.

5.골다공증 예방

낮에 야외에서 걷기 운동을 하면 뼈 건강에 필수적인 비타민D 생성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골밀도가 증가해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다.

6.활력 증대

활력과 행복감을 가져온다. 걷기 운동을 하면 혈액순환이 향상돼 몸속 세포 내 산소 공급이 증가하고, 근육과 관절의 긴장도 완화돼 활력이 늘어난다.

이 효과는 일반적인 우울증 약에 견줄만하다. 엔도르핀 형성을 도와 스트레스와 불안 감소에도 효과적이다.

[사진출처 : 아이클릭아트]

 



권순일 기자 (kstt77@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Posted by 행복자
,

건강

고지혈증 예방에 좋은 먹거리 5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8.22 15:58





지난해 고지혈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177만 명으로 해마다 9.7%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집계한 고지혈증 진료 추이를 보면 환자 중에 가장 많은 연령대는 60대로 인구 10만 명당 9702명 꼴이었다.

성별로 보면 여성 환자는 107만 명, 남성 환자는 70만 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더 많았다. 특히 60대 여성은 100명 중 13명이 고지혈증을 앓고 있어 성별과 연령을 불문하고 환자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건보공단에 따르면 중년 여성의 고지혈증 발병률이 높은 이유는 나쁜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것을 막아주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등도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고지혈증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방성분 물질이 혈액 내에 존재하면서 혈관 벽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전문가들은 '포화지방이 많이 포함된 서구식 식습관과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고지혈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와 관련해 '메디컬 데일리'가 고지혈증 예방에 좋은 식품 5가지를 소개했다.

1.양파

연구에 따르면 매일 양파 반쪽 이상을 먹은 사람은 좋은 콜레스테롤(HDL)이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HDL은 고밀도지단백질인데 이는 혈관 내 지방 침전물을 청소하는 효과가 있어 좋은 콜레스테롤로 불린다. 연구팀은 또 양파가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혈압을 낮추며, 혈전(피떡)을 막는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2.딸기

이탈리아 마르쉐의 폴리테크닉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딸기는 나쁜 콜레스테롤(LDL)은 감소시키고, 좋은 콜레스테롤은 그대로 유지시킨다.

딸기의 항산화 성분이 이런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딸기를 포함한 베리류에는 비타민C가 풍부해 신진대사를 증진시키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해 지방을 희석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3.견과류

호두, 아몬드, 캐슈, 땅콩, 피스타치오 등의 견과류에는 불포화지방은 많은 반면, 포화지방은 적게 들어 있다. 불포화지방은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구에 따르면 견과류를 먹으면 서양식 저지방 다이어트를 할 때보다 나쁜 콜레스테롤을 3~19% 더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견과류는 지방과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4.강황

카레의 주원료인 강황에는 커큐민이라는 좋은 성분이 들어 있다. 연구에 따르면 강황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혈소판이 엉겨 붙는 것도 막는다. 또한 강황은 지방조직의 확산을 느리게 하고 혈당과 중성지방, 지방산을 낮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5.등 푸른 생선

등 푸른 생선에 많이 함유된 오메가-3 지방산은 혈중 중성지방을 낮추고 혈전 형성을 막는다. 일주일에 2회 이상 생선을 섭취하면 좋다.

[사진출처=아이클릭아트]

Posted by 행복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