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불임·천식·실명…도시에 사는 댓가
트위터로 보내기페이스북으로 보내기미투데이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태아에서 성인까지 모두의 건강에 나빠

도시에서 태어난 아기나 자라난 어린이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지 못하다는 연구 결과는 많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도시의 오염된 공기에 매일 노출된 태아는 평생 건강이 나쁠 위험이 크다.

도시에서 태어나는 신생아는 시골에서 태어나는 아기보다 더 크고 무거운 데 원래 이것은 좋은 신호여야 한다. 하지만 번잡한 도시에 사는 임신부의 태반을 조용한 시골에 사는 엄마의 것과 비교한 결과는 다르다. 도시 임신부와 태아의 혈액 속에는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같은 역할을 하는 환경호르몬이 더 많이 들어 있었다.

이 호르몬은 배기가스 매연을 비롯해 인간이 만든 수많은 오염물질에 들어있으며 시골보다는 도시에 훨씬 많다. 유사 에스트로겐은 태아가 지나치게 성장하게 만들 뿐 아니라 비만, 과잉행동 장애, 성 조숙증, 불임, 폐암, 유방암, 전립샘 암을 일으킨다.

스페인 그라나다 대학의 연구팀에 따르면 도시 임신부들은 시골 임신부에 비해 나이가 더 많고 몸무게도 덜 나가는 데도 불구하고 더 큰 신생아를 낳고 있다. 연구팀의 마리아 마르코스 박사는 독성 유사 에스트로겐이 태아의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그녀의 보고서는 도시의 공기가 어린이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는 최신의 증거가 되고 있다.

이야기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지난해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연구소에서의 검사 결과를 보자. 이에 따르면 도시의 오염물질은 유아의 신진대사에 변화를 일으켜 혈당과 인슐린 저항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당뇨병의 위험 요인이다.

이 대학 킹화선 박사는 이 같은 오염물질이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이들 미세 입자는 직접적으로 염증을 일으키며 지방 세포를 변화시키는 데 이 모두가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다.

실내에서 자라는 것도 건강에 해롭다. 특히 눈의 성장에 나쁘다. 하루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보내는 어린이는 고도 근시가 될 위험이 매우 높다. 이런 환자 중 절반이 중년에 실명한다. 호주 시력보호 과학 센터의 연구자들에 따르면 범인은 햇빛 부족이다. 햇빛에 노출된 눈의 망막에서는 도파민이 분비되는 데 이는 근시를 유발하는 안구의 과대성장을 억제한다.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야외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린이는 근시가 될 위험이 20% 낮다.

도시 어린이들은 천식과 기타 알레르기에 걸릴 위험이 더 크다. 이는 위생가설이라 불린다. 도시 어린이는 진흙에서 놀거나 풀밭에 눕거나 물 웅덩이에서 뒹굴지 않는 탓에 상대적으로 무해한 토양 미생물에 노출될 기회가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과도하게 위생적인 가정에서 자라는 까닭에 면역계가 세균에 정상적인 저항력을 발전시킬 기회가 차단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도시에 사는 엄마는 심지어 스스로의 알레르기성 과민반응을 자궁속의 태아에게 옮기고 있을 지 모른다고 한다. 실험의학 저널(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농장의 미생물에 둘러싸여 사는 임신부는 알레르기에 저항성을 지닌 자녀를 낳는다고 한다. 이는 도시의 임신부가 제공할 수 없는 환경이다.

런던에 있는 정신의학 연구소의 글린 루이스 박사가 연구한 바에 따르면 도시에서 나서 자란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에 비해 정신분열증에 걸릴 위험이 두 배 높다. 도시 사람들은 우울증이나 양극성 장애 같은 기분 장애를 앓을 위험이 39% , 불안 장애를 앓을 위험이 21% 높다.

도시에서 자라는 소녀는 거식증에 걸릴 위험이 5배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영국 정신의학 저널에 실린 논문은 도시 소녀를 10년간 추적한 결과를 이처럼 보고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들은 영국 일간지 데일리 메일이 21일 보도했다

Posted by 행복자
,

사회적 봉사

뉴스, 스크럽 2012. 3. 21. 23:22
차인표 방송 후 홈피 ‘난리’… 왜?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 ㆍTV 나와 활동 소개하자 봉사단체 홈피 접속 폭주
    ㆍ“휴머니즘의 소셜테이너”

    “진심어린 모습을 보며 제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됐습니다.”(시청자 이범준씨)

    “보는 내내 눈물을 흘렸고 오늘 이후의 삶에 큰 역할을 할 것 같습니다.”(시청자 황대근씨)

    19일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 차인표 편>이 나간 직후 해외봉사단체인 한국컴패션 홈페이지는 다운됐다. 한국컴패션 이상은 사무팀장은 20일 “갑자기 접속자가 몰려 방송 후 홈페이지가 한동안 다운됐고, 차인표씨의 봉사활동 얘기를 들은 사람들이 후원하고 싶다는 문의가 오늘도 이어졌다”고 말했다.

김제동, 김미화, 김여진씨 등 사회적 목소리를 내는 소셜테이너가 많지만 차씨는 이들과는 다른 유형의 소셜테이너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경기 고양에 사는 박지영씨는 “(차인표씨를) 보수주의자로만 알았는데, 이념을 떠나 휴머니스트인 것 같다. 말을 앞세우지 않고 몸소 실천하는 모습에 감동했다”고 말했다. 차씨는 정치적 목소리를 내지는 않았지만 데뷔 이후 18년 동안 기부, 공개입양, 해외봉사를 하며 소신 있게 살아왔다.

차씨(사진)는 드라마 <사랑을 그대 품안에>로 최정상의 인기를 누리던 1995년 미국 영주권을 포기하고 현역 입대했다. 당시만 해도 연예인이 인기가 최정상일 때 입대하는 건 이례적이었다. 이후 교포 출신 연예인들의 군대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차씨가 모범 사례로 꼽히며 병역 기피자들을 옭아맸다. 2005년과 2007년에는 예은과 예진, 두 딸을 공개입양했다.

홀트아동복지회 김은희 사회복지사는 “차인표·신애라 부부의 공개입양은 입양 가족들에게 동질감과 사회적 방어가 됐다. ‘입양아들은 버려진 아이’라는 인식이 옅어진 것도 이들의 힘이 크다”고 말했다. 2008년에는 ‘3만5000원의 기적’ 편에 무료로 출연, 해외봉사활동을 국내에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차씨는 출연료도 받지 않고 에티오피아까지 날아가 촬영했다. 당시 방송을 보고 1만명이 넘는 시민들이 해외결연기부에 동참했다.

이상은 팀장은 “홍보대사를 하는 많은 연예인들이 얼굴마담에 그치는 경우가 많은데 차씨는 ‘내가 행동해야 남들도 따라 한다’는 걸 알고 쓰레기를 치우는 등 궂은일에 솔선수범한다. 카리스마나 인기가 아니라 행동으로 다른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점이 다르다”고 말했다.

‘3만5000원의 기적’ 편을 연출한 한학수 PD는 차씨를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뭔지 모범적으로 보여주는 독보적 사례”라고 평했다. 그는 “차인표씨가 남들 앞에서 초라해 보이기 싫어하는 ‘폼생폼사’다. 그러나 호텔방에서 라면을 끓여 먹을 정도로 가식이 없고 소탈한 면도 있다. 때와 장소를 구분할 줄 안다”고 말했다.

대중문화평론가 하재근씨는 “(시민으로서) 공동체 의무에 충실한 데다 모범적인 생활로 비판받을 것이 별로 없는 스타”라고 했다. 하씨는 “특정한 정치색이 드러나지 않고 휴머니즘에 기반하고, 진정성으로 대중을 움직이는 다른 유형의 소셜테이너”라고 평가했다
Posted by 행복자
,

부부금술을 상징하는 합혼수, 자귀꽃

홍자귀.jpg

홍자귀꽃

자귀나무는

쌍떡잎식물의 콩과의 낙엽교목이며

한국, 일본, 서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보통 자귀나무 꽃보다

훨씬 붉은 색을 띄는 것을 홍자귀라 한다.

자귀나무 잎은 아카시아 잎처럼

작은 잎이 모여 하나의 가지를 만든다.

IMG_0072.JPG

잎은 짝수여서 밤이면 잎을

마주 포개고 잠이 든다하여 부부 금슬을 상징하는

합혼수(合婚樹), 합환목, 야합수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소가 잘 먹는다고 소쌀나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꽃은 연분홍색, 붉은색 등이 6∼7월에 피고 작은 가지 끝에

15∼20개씩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신경쇠약·불면증에 약용으로 쓰인다.

IMG_0079.JPG

옛날 한 청년이 꽃이 만발한 한집에서

처녀에게 청혼할 때 자귀 꽃을 바쳤다는 전설이 있다.

꽃말은 ‘환희’ ‘사랑’ ‘가슴이 두근거림’ 등이 있다.

* 촬영 : Canon EOS 30D/ 125sec, 5.6F/'08.2.7/인도 아그라/윤병두

Posted by 행복자
,
"고소득일수록 친환경 소비"<상의조사>
PET병으로 만든 옷은 어떨까?
(서울=연합뉴스) 배정현 인턴기자 = 3일 서울 황학동 이마트 청계천점에서 홍보 모델들이 PET병으로 만든 의류를 들어보이고 있다. 이마트 생활토탈브랜드 '자연주의'는 PET병을 재활용한 폴리에스테르와 100% 유기농 면 등 친환경 소재로 만든 에코시리즈 의류를 선보였다. 2010.6.3 doobigi@yna.co.kr

(서울=연합뉴스) 강훈상 기자 = 소득이 높을수록 친환경 제품을 소비하는 비율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0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유기농 농산물과 같은 친환경 제품을 즐겨 구매하는 비율이 월 소득에 대체로 비례했다고 12일 밝혔다.

월 소득별 친환경 제품의 구매 비율은 200만원 미만이 52.0%, 200만∼300만원이 50.0%, 300만∼400만원 58.3%, 400만∼500만원이 58.1%로 집계됐다. 고소득자라고 볼 수 있는 500만원 이상은 69.1%로 다른 소득대에 비해 두드러졌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친환경 제품의 가격이 비싼 편이어서 고소득일수록 구매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유기농 친환경 농산물
(서울=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20일 양재동 AT센터에서 이마트 주최로 열린 '이마트 친환경 및 중소기업 상품박람회'에서 관람객들이 다양한 종류의 중소기업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2009.5.20 leesh@yna.co.kr

실제로 응답자의 90.2%가 친환경 제품이 일반 상품보다 비싸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2.2%, 30대 52.0%, 40대 59.5%, 60대가 63.9%로 나이가 많을수록 친환경 제품 구매 비율이 높았다.
또 남성(41.4%)보다 여성(60.0%)이, 미혼자(42.8%)보다 기혼자(59.7%)의 구매비율이 높았다.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건강때문이라는 응답자가 83.2%로 압도적이었다.

hskan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0/08/12 11:07송고
Posted by 행복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