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을 가다> ④아프간에서 뭉친 한국과 미국
![]() |
아프간 차리카르 PRT 부지 (바그람기지<아프가니스탄>=연합뉴스) 유현민 기자 = 아프간 PRT 임시사무소 소장 일행이 지난 2월 말 둘러본 아프가니스탄 파르완주 차리카르시 북쪽 인근 한국 지방재건팀(PRT) 부지에서 바라본 동쪽 풍경. 2010.4.12 << 외교통상부 제공 >> hyunmin623@yna.co.kr |
![](http://img.yonhapnews.co.kr/basic/svc/06_images/090721_ar_tx_01.gif)
지금까지 아프간에서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의 방침에 따라 1개 주에서 한 국가가 PRT를 주도적으로 운영한다는 관행이 이뤄져 왔지만 한.미 양국은 파트너십을 통해 재건지원의 실효성을 높인다는 차원에서 공동 주도국이 되기로 했다.
12일 현재 아프간 34개주 가운데 31개주에서 26개의 PRT가 운용 중이지만 최근 미국과 프랑스가 공동 주도국이 되기로 한 카피사주의 PRT를 제외하고는 모든 주에서 한 개의 나라가 PRT를 주도하고 있다.
바그람기지에서 만난 에단 글릭 미국 PRT 민간 대표는 "미국과 한국이 함께 주도하는 파르완주의 PRT는 아프간 PRT의 새로운 모델이 될 것"이라며 "특히 민간 주도로 운영될 한국 PRT는 우리 PRT의 약한 부분을 상당 부분 보완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아프간에서의 한.미 협력은 지난해 양국 정상이 채택한 미래비전선언에 따라 한미동맹을 지역적 차원을 넘어 글로벌 수준으로 그 외연을 확대한다는 의미를 갖는다는 게 외교가의 대체적인 평가다.
이명박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6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단독 및 확대 정상회담을 통해 미래비전선언을 채택했다.
이는 2008년 4월 이 대통령과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캠프데이비드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21세기 전략적 동맹관계'를 한 차원 더 높게 구체화한 것이다.
양국이 기존 군사.안보 분야는 물론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지역적 차원을 넘어 범세계적이고 포괄적인 관계를 구축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아프간 파르완주에서의 한.미간 PRT 협력은 미래비전선언을 구체적 성과로 볼 수 있다는 게 외교부 당국자들의 설명이다.
나아가 한.미 양국은 이를 통해 향후 남북통일 후 또는 북한 급변사태 후 요구될 수 있는 재건지원 사업의 경험을 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아프간 현지에 진출해있는 한 소식통은 "아프간 파르완주에서의 PRT 활동은 남북통일을 대비해야 하는 우리 정부로서는 돈을 주고도 살 수 없는 귀중한 경험"이라며 "특히 미국과 공동으로 PRT를 주도함으로써 양국은 아프간에서 동맹의 미래 발전상을 목격하고 나아가 향후 귀중한 경험적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yunmin623@yna.co.kr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들> `바그람의 천사`천정애 간호사 (0) | 2010.04.12 |
---|---|
<아프간을 가다> 5 바그람기지 한국병원 (0) | 2010.04.12 |
<아프간을 가다> 3 현지인들의 기대 (0) | 2010.04.12 |
<아프간을 가다>2 현지르포 (0) | 2010.04.12 |
<아프간을 가다>1 한국 PRT(지방재건팀)의 구성과 역할 (0) | 2010.04.12 |